<授業概要>この科目では文化に関する全般的な理解を目的とする。文化の概念を理解し、人類の歴史において展開されてきた文化の概念に対する変遷過程を把握する。また、現代社会において展開されてきている文化研究の多様なテーマを検討する。最後に韓国文化に対する理解の仕方を共に探索し、文化の普遍性と特異性を考察する。
<授業目標>
1. 文化の概念に関する理解
2. 現代文化研究の多様なテーマの検討
3. 韓国文化の理解の仕方の探索
4. 文化の普遍性と特異性の考察
<授業内容>
1주 강의계획 및 일정 소개、한국어학과 문화 과목 특성 소개
2주 `문화'의 기원에 대하 한국언어문화교육에서의 `문화' 개념
3주 문화 교육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하여
4주 `문화'란 무엇인가 난상 토론
5주 거주 문화 1 : 한국의 지리와 기후 (벼농사 문화) 자국과 한국의 지리와 기후 비교
6주거주 문화 2 : 도시에서의 삶 (수도를 중심으로) 자국 도시와의 비교
7주 정신 문화 1 : 한국의 사상(풍수, 실학 등) 정신 문화 1 : 자국 사상과의 비교
8週目 中間試験
9주 정신 문화 2 : 한국의 종교 (무속 신앙을 중심으로) 자국 종교와의 비교
10주 생활 문화 1 : 한국의 명절 (설날, 추석 등) 자국 명절과의 비교
11주 생활 문화 2 : 한국의 가족과 결혼 (육아와 교육 포함) 자국의 가족, 결혼과의 비교
12주 생활 문화 3 : 한국 청년의 생활 (대학생, 世代問題 자국의 청년 생활과의 비교
13주 대중 문화 1 : 한국 대중문화의 이해 (문화콘텐츠 중심) 자국 대중문화와의 비교
14주 대중 문화 2 : 한국의 온라인 세계 (사이버문화) 자국 사이버 문화와의 비교
15주 문화의 이해 종합 토론
16週目 期末試験
<評価方法>
中間試験30%、期末試験30%、発表20%、出席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