科目情報
한국현대문화
한국현대문화
Korean Modern Culture
韓国現代文化
講義(地域言語)
강좌명 한국현대문화 교강사명 이선이(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학수번호 KO120300 사무실/연구실 031-201-2273 이수구분 전공선택 연락처 로그인하세요 개설학과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한국어학 로그인하세요 학점 3 이메일 로그인하세요 강의시간 강의실 이선이 화10:30-11:45 외308, 이선이 목10:30-11:45 외308 홈페이지 [개인용] [수업용] 영어강좌여부 면담시간 화, 목 선수과목 조회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수업개요 및 목표 수업개요 본 수업은 한국 현대문화의 형성과정과 주요 문화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한국 현대문화의 범주, 시대구분, 주요 개념 및 문화현상을 알고, 이를 토대로 비교문화적 관점으로 한국현대문화를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수업은 강의, 발표, 토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수업에서 다룰 주된 내용은 한국현대문화의 형성과정과 시대별 변화상이다. 본 수업에서는 외국문화로서의 한국문화에 대한 접근방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상호문화이해, 비교문화학, 교차문화학적 관점을 활용할 것이다. 수업목표 한국 현대문화 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형성과정을 안다. 한국 현대문화의 주요 문화내용을 안다. 한국 현대문화의 주요 특징를 안다. 한국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비판할 수 있다. 외국문화로서 한국 현대문화가 갖는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수업운영방식 대면수업 비대면 수업(e-campus) 대면 + 비대면 병행 (대면 + e-campus) 실시간 비대면 수업 (zoom)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 (contents) 실시간+비실시간 비대면 수업 (zoom+contents) 대면 + 실시간 비대면 수업 (대면+zoom) 대면 +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 (대면+contents) 대면+실시간+ 비실시간비대면 수업 (대면+zoom+contents) 수업 운영방식 ○ 추가설명 수업은 대면 수업을 위주로 진행하며, 불가피한 경우 2회 내외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유형 및 방법 이론강의 실험/실습 실기 ABEEK설계 현장학습 캡스톤디자인 기타 수업유형 50% 30% 0% 0% 0% 20% 수업유형 추가설명 중간고사 이전까지는 현대문화의 형성과정을 강의를 중심으로 진행합니다. 중간고사 이후에는 강의와 조별 활동, 토론, 발표 등을 병행하며 수업이 진행됩니다. 토의/토론 특강/세미나 팀별발표 개별발표 시청각 온라인강의 e-campus활용 수업방법 ○ ○ ○ ○ ○ PBL/CBL 이론강의 실험/실습 실기 유인물 견학/현장강의 기타 ○ ○ ○ 수업진행 추가설명 수업은 프린트물과 PPT를 활용하여 강의 중심으로 진행되며, 토론과 조별 발표(1회)가 병행될 예정입니다. 교재 및 참고자료 교재구분 서명 저자명 출판사 출판년도 ISBN 비고 교재 및 참고자료 1 강의 자료 유인물로 제공 2 한국 현대문화의 형성 주창윤 나남 2015 9788957264706 3 내 안의 역사 전우용 푸른역사 2019 978893008804694300 4 각종 신문과 잡지류 5 한국 현대문화의 이해 이선이 현실문화연구 2003 8987057259 6 한류 101 신두보 외 동국대학교출판부 2025 9791191670738 7 8 9 10 추가문헌 및 자료 참고문헌을 구입할 필요는 없으며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으니 대출해서 보면 됩니다. 평가방법 평가항목 평가비율(%) 추 가 설 명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20% 과제보고서 20% 발표 20% 출석 10% 기타 0% 주별강의내용 차시 날짜 강의주제 및 내용 비고 (주차별 수업방법,과제 등) 1주 9/1 ~ 9/7 강의소개 : 한국현대문화의 범주와 시대구분 강의 2주 9/8 ~ 9/14 한국현대문화 분석 방법과 주요 개념 강의 및 토론 3주 9/15 ~ 9/21 한국현대문화의 형성 : 문화의 지속과 단절 양상, 민족문화와 서구문화, 전통문화와 현대문화, 세계문화와 한국문화 강의 및 토론 4주 9/22 ~ 9/28 한국현대문화의 전개 1-냉전체제와 한국현대문화의 재편 강의 및 토론 5주 9/29 ~ 10/5 한국현대문화의 전개 2-민족문화의 재인식과 국가문화(태극기와 애국가의 상징적 의미) 강의 및 토론 6주 10/6 ~ 10/12 추석 연휴 휴강 휴강 7주 10/13 ~ 10/19 한국현대문화의 전개3-금제와 욕망의 대중문화사/청년문화 한국현대문화의 실제1 - K푸드 문화사 강의 및 토론 8주 10/20 ~ 10/26 10월 21일 : 중간고사 실시 10월 23일 : 실시간 비대면 수업 중간 시험 9주 10/27 ~ 11/2 한국현대문화의 실제2- 주택 문화사 조별활동1(한류 잡담회-발표주제 정하기) 강의, 조별활동 10주 11/3 ~ 11/9 한국현대문화의 실제3 - K패션의 문화사 한국세대별 문화 트렌드 분석 : 세대담론과 세대별문화 강의 조별활동 11주 11/10 ~ 11/16 한국대중문화의 키워드 : 한국의 팬덤문화(팬덤의 형성과 팬덤문화의 실제) -조별활동2(한류 잡담회- 발표 내용 정리) 강의, 조별활동 12주 11/17 ~ 11/23 한국대중문화의 키워드 : 한국의 온라인문화(1인 미디어 분석, 커뮤니티, SNS 분석) 조별활동3(한류 잡담회-발표내용 정리) 강의, 조별활동 13주 11/24 ~ 11/30 한국대중문화의 키워드: 한국의 광고문화(B급 감성, 네이티브 광고/ 소비 트렌드 분석) 강의, 조별활동 14주 12/1 ~ 12/7 한류 너머의 한류 : 조별 발표 발표와 토론 15주 12/8 ~ 12/14 한국현대예술문화1 강의 16주 12/15 ~ 12/20 한국현대예술문화2 12월 18일 기말고사 강의 및 기말고사 기타 과제 -이번 학기 과제는 새롭게 부상하는 한국현대문화 현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창의적인 시각에서 문화분석을 수행함(분석 대상인 문화가 새롭게 부상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 등을 분석하고, 기존문화와 갖는 연관성을 밝히며, 이러한 문화현상 속에 담긴 욕망과 이데올로기를 분석할 것)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은 과제1과 과제2로 나누어 진행함. <과제1 : 자료 조사> 1. 내용 : 기말과제 수행을 위한 참고 자료 조사 내용 제출 : 1)참고문헌(소논문과 단행본), 2)참고 사이트, 3)기타 참고 자료(신문, 잡지 등)의 목록을 정리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참고가 될 만한 중요한 자료에 대한 충실한 설명을 담아 제출할 것 2. 분량 : A4 5장 내외 3. 제출일 : 11월 10일 자정까지 e-campus에 업로드 <과제2> 1. 내용 : 자신이 선택한 한국현대문화 현상을 창의적으로 분석하여 기말 보고서 작성 및 제출(창의성이 평가에서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2. 분량 : 내국인 (A4 6장 정도), 외국인(A4 5장 정도) --참고문헌은 분량에 포함되지 않음. 글자 포인트 10, 줄간격 160으로 맞추어 제출해 주세요. 3. 형식 : 도서관 홈피 하단에 있는 유사도 상세검사 후 결과지와 함께 제출바람.(검사지 미제출 시에는 감점함) 4. 제출일 : 11월 30일 자정까지 e-campus에 업로드 수업 안내사항 장애학생지원내용 강의수강관련 시각장애: 디지털교재, 확대교재, 강의 녹취, 대필도우미 허용 지체장애: 대필도우미 및 수업보조 도우미 허용 청각장애: 대필 및 문자통역 도우미 활동 허용, 강의 녹취허용 건강장애: 질병 등으로 인한 결석에 대한 출석 인정, 대필 도우미 허용 학습장애: 대필도우미 허용 지적장애/자폐성장애: 대필도우미 및 수업멘토 허용 과제 및 평가관련 과제 제출 및 응답 방식의 조정, 평가시간 연장, 평가 문항 제시 및 응답 방식의 조정, 별도 고사실 제공, 개별화 과제 제출 및 대체 평가 실시 과제 및 평가관련 :*장애유형, 정도에 따라 지원 내용이 다를 수 있음 비고 본 과목을 수강하는 장애학생은 수업에 필요한 별도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 담당교강사 및 장애학생지원센터 (서울 02-961-2104~5, 국제 031-201-3460~1)로 필요한 사항을 요청하기 바랍니다. COPYRIGHT © KYUNG HEE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講座名 韓国現代文化 教講の使命 イ・ソンリー(外国語大学韓国語学科) 学数番号 KO120300 オフィス/研究室 031-201-2273 イ・ス区分 専攻選択 お問い合わせ ログインしてください 開設学科 外国語大学韓国語学科韓国語学 ログインしてください クレジット 3 Eメール ログインしてください 講義時間講義 室 李ソンイ火10:30-11:45外308、李ソンイ木 ホームページ [個人用] [授業用] 英語講座かどうか 面談時間 怒り、首 選手科目 照会されたデータは存在しません。 授業概要と目標 授業概要 本授業は韓国現代文化の形成過程と主要文化現象を理解し、これを批判的に認識する能力を養うことに究極の目標がある。授業を通じて学生たちは韓国現代文化のカテゴリー、時代区分、主な概念及び文化現象を知り、これに基づいて比較文化的観点で韓国現代文化を理解する能力を向上させることになるだろう。授業は講義、発表、討論を中心に行われ、授業で取り上げる主な内容は韓国現代文化の形成過程と時代別変化相だ。本授業では、外国文化としての韓国文化への接近方式を学習できるよう相互文化理解し、比較文化、交差文化的観点を活用する。 授業目標 韓国現代文化形成の歴史的背景と形成過程を知る。 韓国現代文化の主要文化内容を知る。 韓国現代文化の主な特徴を知る。 韓国現代社会が抱えている社会問題を理解し、これを批判することができる。 外国文化として韓国現代文化が持つ特徴を説明することができる。 授業運営方式 対面クラス 非対面クラス(e-campus) 対面+非対面並行 (対面+e-campus) リアルタイムの非 対面クラス (zoom) 非リアルタイムの非 対面クラス (contents) リアルタイム+非リアルタイム 非対面クラス (zoom+contents) 対面+リアルタイム非 対面クラス (対面+zoom) 対面+非リアルタイム 非対面クラス (対面+contents) 対面+リアルタイム+ 非リアルタイム非対面クラス (対面+zoom+contents) 授業 運営方式 ○ 追加の説明 授業は対面授業を中心に進行し、避けられない場合は2回内外でリアルタイム非対面授業を進行する。 クラスの種類と方法 理論講義 実験/実習 実技 ABEEK設計 現場学習 キャップストーンデザイン その他 クラスタイプ 50% 30% 0% 0% 0% 20% クラスタイプの 追加説明 中間試験前までは現代文化の形成過程を講義を中心に進めています。中間試験後は、講義とグループ別活動、討論、発表などを並行して授業が行われます。 議論/議論 特講/セミナー チーム別発表 個別発表 視聴覚 オンライン講義 e-campus活用 授業方法 ○ ○ ○ ○ ○ PBL/CBL 理論講義 実験/実習 実技 配布 見学/現場講義 その他 ○ ○ ○ 授業進行の 追加説明 授業は印刷物とPPTを活用して講義の中心に進められ、討論と区別発表(1回)が並行する予定です。 教材と参考資料 教材区分 署名 著者名 出版社 出版年 ISBN 備考 教材と 参考資料 1 講義資料配布資料として提供 2 韓国現代文化の形成 チュ・チャンユン ナナム 2015 9788957264706 3 私の中の歴史 戦友用 青い歴史 2019 978893008804694300 4 各種新聞や雑誌類 5 韓国現代文化の理解 イ・ソン 現実文化研究 2003 8987057259 6 韓流101 シンドゥボ他 東国大学出版部 2025 9791191670738 7 8 9 10 追加文献と 資料 参考文献を購入する必要はなく、図書館に備えられているので、貸し出してみるとよいでしょう。 評価方法 評価項目 評価比率(%) 追加の説明 中間試験 30% 期末試験 20% 課題報告書 20% 発表 20% 出席 10% その他 0% 週別講義内容 チャシー 日付 講義のテーマと内容 備考 (駐車別授業方法、課題など) 1週間 9/1~9/7 講義紹介:韓国現代文化のカテゴリと時代区分 講義 2週間 9/8~9/14 韓国現代文化分析方法と主な概念 講義と議論 3週間 9/15~9/21 韓国現代文化の形成: 文化の持続と断絶の様相、民族文化と西欧文化、伝統文化と現代文化、世界文化と韓国文化 講義と議論 4週間 9/22~9/28 韓国現代文化の展開 1-冷戦体制と韓国現代文化の再編 講義と議論 5週間 9/29~10/5 韓国現代文化の展開 2-民族文化の再認識と国家文化(太極旗と愛国家の象徴的意味) 講義と議論 6週間 10/6~10/12 チュソク連休休暇 休止 7週間 10/13~10/19 韓国現代文化の展開3-禁制と欲望の大衆文化史/青年文化 韓国現代文化の実際1 - Kフード文化史 講義と議論 8週間 10/20~10/26 10月21日:中間試験実施 10月23日:リアルタイム肥大面授業 中間テスト 9週間 10/27~11/2 韓国現代文化の実際2-住宅文化史 調別活動1(韓流雑談会-発表主題定める) 講義、グループ活動 10週 11/3~11/9 韓国現代文化の実際3 - Kファッションの文化史 韓国世代別文化トレンド分析:世代談論と世代別文化 講義グループ活動 11週 11/10~11/16 韓国大衆文化のキーワード:韓国のファンダム文化(ファンダムの形成とファンダム文化の実際) - グループ別活動2(韓流雑談会 - 発表内容まとめ) 講義、グループ活動 12週 11/17~11/23 韓国大衆文化のキーワード:韓国のオンライン文化(1人メディア分析、コミュニティ、SNS分析) グループ活動3(韓流雑談会 - 発表内容まとめ) 講義、グループ活動 13週 11/24~11/30 韓国大衆文化のキーワード:韓国の広告文化(B級感性、ネイティブ広告/消費トレンド分析) 講義、グループ活動 14週 12/1~12/7 韓流を超えた韓流:グループ別発表 発表と議論 15週 12/8~12/14 韓国現代芸術文化1 講義 16週 12/15~12/20 韓国現代芸術文化2 12月18日期末試験 講義および期末試験 その他 課題 -今回の学期課題は新たに浮上する韓国現代文化現象の一つを選択して創意的な視点で文化分析を遂行する(分析対象の文化が新たに浮上した社会的、経済的、政治的要因などを分析し、既存文化との関連性を明らかにし、このような文化現象の中に盛り込まれた欲望と理想 )課題2に分けて進行する。 <課題1:資料調査> 1.内容:期末課題遂行のための参考資料調査内容の提出:1)参考文献(小論文と単行本)、2)参考サイト、3)その他参考資料(新聞、雑誌など)のリストを整理し、資料を分析して参考になる重要な資料についての忠実な説明を含む 。 3.提出日:11月10日深夜までe-campusにアップロード <課題2> 1.内容:自分が選択した韓国現代文化現象を創造的に分析し、 期末報告書作成および提出(創造性が評価において重要なポイントです) 文字ポイント10、ライン間隔160で合わせて提出してください。 3.形式:図書館ホームフィー下段にある類似度詳細検査後、結果紙とともに提出風。 (検査紙未提出時には減点する) 授業 案内 障害学生支援内容 講義受講関連 視覚障害:デジタル教材、拡大教材、講義録音、避難助手を許可 遅滞障害:代筆ヘルパーと授業補助ヘルパーを許可 聴覚障害:避難および文字通訳ヘルパー活動を許可、講義の録音を許可 健康障害:病気などによる欠席の出席認定、代筆ヘルパーの許可 学習障害:避難助手を許可 知的障害/自閉性障害:避難助手と授業指導を許可する 課題と評価関連 課題提出と回答方式の調整、評価時間の延長、評価問合せの提示と回答方式の調整、別途試験室の提供、個別化課題提出及び 代替評価の実施 課題と評価関連:*障害の種類、程度によって支援内容が異なる場合があります 備考 本科目を受講する障害学生は、授業に必要な別途支援が必要な場合、担当教員や障害学生支援センター (ソウル02-961-2104~5、国際031-201-3460~1)で必要事項をお願いします。 COPYRIGHT©KYUNG HEE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外国語大学韓国語学科韓国語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