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명 한국현대문화 교강사명 이선이(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학수번호 KO120300 사무실/연구실 031-201-2273
이수구분 전공선택 연락처 로그인하세요
개설학과 외국어대학 한국어학과 한국어학 로그인하세요
학점 3 이메일 로그인하세요
강의시간
강의실 이선이 화10:30-11:45 외308, 이선이 목10:30-11:45 외308
홈페이지 [개인용]
[수업용]
영어강좌여부 면담시간 화, 목
선수과목
조회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수업개요 및 목표
수업개요 본 수업은 한국 현대문화의 형성과정과 주요 문화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한국 현대문화의 범주, 시대구분, 주요 개념 및 문화현상을 알고, 이를 토대로 비교문화적 관점으로 한국현대문화를 이해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수업은 강의, 발표, 토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수업에서 다룰 주된 내용은 한국현대문화의 형성과정과 시대별 변화상이다. 본 수업에서는 외국문화로서의 한국문화에 대한 접근방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상호문화이해, 비교문화학, 교차문화학적 관점을 활용할 것이다.
수업목표 한국 현대문화 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형성과정을 안다.
한국 현대문화의 주요 문화내용을 안다.
한국 현대문화의 주요 특징를 안다.
한국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비판할 수 있다.
외국문화로서 한국 현대문화가 갖는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수업운영방식
대면수업 비대면 수업(e-campus) 대면 + 비대면 병행
(대면 + e-campus)
실시간
비대면 수업
(zoom)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
(contents) 실시간+비실시간
비대면 수업
(zoom+contents) 대면 + 실시간
비대면 수업
(대면+zoom) 대면 + 비실시간
비대면 수업
(대면+contents) 대면+실시간+
비실시간비대면 수업
(대면+zoom+contents)
수업
운영방식 ○
추가설명 수업은 대면 수업을 위주로 진행하며, 불가피한 경우 2회 내외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진행한다.
수업유형 및 방법
이론강의 실험/실습 실기 ABEEK설계 현장학습 캡스톤디자인 기타
수업유형 50% 30% 0% 0% 0% 20%
수업유형
추가설명 중간고사 이전까지는 현대문화의 형성과정을 강의를 중심으로 진행합니다. 중간고사 이후에는 강의와 조별 활동, 토론, 발표 등을 병행하며 수업이 진행됩니다.
토의/토론 특강/세미나 팀별발표 개별발표 시청각 온라인강의 e-campus활용
수업방법 ○ ○ ○ ○ ○
PBL/CBL 이론강의 실험/실습 실기 유인물 견학/현장강의 기타
○ ○ ○
수업진행
추가설명 수업은 프린트물과 PPT를 활용하여 강의 중심으로 진행되며, 토론과 조별 발표(1회)가 병행될 예정입니다.
교재 및 참고자료
교재구분 서명 저자명 출판사 출판년도 ISBN 비고
교재 및
참고자료 1 강의 자료 유인물로 제공
2 한국 현대문화의 형성 주창윤 나남 2015 9788957264706
3 내 안의 역사 전우용 푸른역사 2019 978893008804694300
4 각종 신문과 잡지류
5 한국 현대문화의 이해 이선이 현실문화연구 2003 8987057259
6 한류 101 신두보 외 동국대학교출판부 2025 9791191670738
7
8
9
10
추가문헌 및
자료 참고문헌을 구입할 필요는 없으며 도서관에 구비되어 있으니 대출해서 보면 됩니다.
평가방법
평가항목 평가비율(%) 추 가 설 명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20%
과제보고서 20%
발표 20%
출석 10%
기타 0%
주별강의내용
차시 날짜 강의주제 및 내용 비고
(주차별 수업방법,과제 등)
1주 9/1 ~ 9/7 강의소개 : 한국현대문화의 범주와 시대구분 강의
2주 9/8 ~ 9/14 한국현대문화 분석 방법과 주요 개념 강의 및 토론
3주 9/15 ~ 9/21 한국현대문화의 형성 :
문화의 지속과 단절 양상, 민족문화와 서구문화, 전통문화와 현대문화, 세계문화와 한국문화 강의 및 토론
4주 9/22 ~ 9/28 한국현대문화의 전개 1-냉전체제와 한국현대문화의 재편 강의 및 토론
5주 9/29 ~ 10/5 한국현대문화의 전개 2-민족문화의 재인식과 국가문화(태극기와 애국가의 상징적 의미) 강의 및 토론
6주 10/6 ~ 10/12 추석 연휴 휴강 휴강
7주 10/13 ~ 10/19 한국현대문화의 전개3-금제와 욕망의 대중문화사/청년문화
한국현대문화의 실제1 - K푸드 문화사 강의 및 토론
8주 10/20 ~ 10/26 10월 21일 : 중간고사 실시
10월 23일 : 실시간 비대면 수업 중간 시험
9주 10/27 ~ 11/2 한국현대문화의 실제2- 주택 문화사
조별활동1(한류 잡담회-발표주제 정하기) 강의, 조별활동
10주 11/3 ~ 11/9 한국현대문화의 실제3 - K패션의 문화사
한국세대별 문화 트렌드 분석 : 세대담론과 세대별문화 강의 조별활동
11주 11/10 ~ 11/16 한국대중문화의 키워드 : 한국의 팬덤문화(팬덤의 형성과 팬덤문화의 실제)
-조별활동2(한류 잡담회- 발표 내용 정리) 강의, 조별활동
12주 11/17 ~ 11/23 한국대중문화의 키워드 : 한국의 온라인문화(1인 미디어 분석, 커뮤니티, SNS 분석)
조별활동3(한류 잡담회-발표내용 정리) 강의, 조별활동
13주 11/24 ~ 11/30 한국대중문화의 키워드: 한국의 광고문화(B급 감성, 네이티브 광고/ 소비 트렌드 분석) 강의, 조별활동
14주 12/1 ~ 12/7 한류 너머의 한류 : 조별 발표 발표와 토론
15주 12/8 ~ 12/14 한국현대예술문화1 강의
16주 12/15 ~ 12/20 한국현대예술문화2
12월 18일 기말고사 강의 및 기말고사
기타
과제 -이번 학기 과제는 새롭게 부상하는 한국현대문화 현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창의적인 시각에서 문화분석을 수행함(분석 대상인 문화가 새롭게 부상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 등을 분석하고, 기존문화와 갖는 연관성을 밝히며, 이러한 문화현상 속에 담긴 욕망과 이데올로기를 분석할 것)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은 과제1과 과제2로 나누어 진행함.
<과제1 : 자료 조사>
1. 내용 : 기말과제 수행을 위한 참고 자료 조사 내용 제출 : 1)참고문헌(소논문과 단행본), 2)참고 사이트, 3)기타 참고 자료(신문, 잡지 등)의 목록을 정리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참고가 될 만한 중요한 자료에 대한 충실한 설명을 담아 제출할 것
2. 분량 : A4 5장 내외
3. 제출일 : 11월 10일 자정까지 e-campus에 업로드
<과제2>
1. 내용 : 자신이 선택한 한국현대문화 현상을 창의적으로 분석하여 기말 보고서 작성 및 제출(창의성이 평가에서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2. 분량 : 내국인 (A4 6장 정도), 외국인(A4 5장 정도) --참고문헌은 분량에 포함되지 않음.
글자 포인트 10, 줄간격 160으로 맞추어 제출해 주세요.
3. 형식 : 도서관 홈피 하단에 있는 유사도 상세검사 후 결과지와 함께 제출바람.(검사지 미제출 시에는 감점함)
4. 제출일 : 11월 30일 자정까지 e-campus에 업로드
수업
안내사항
장애학생지원내용
강의수강관련
시각장애: 디지털교재, 확대교재, 강의 녹취, 대필도우미 허용
지체장애: 대필도우미 및 수업보조 도우미 허용
청각장애: 대필 및 문자통역 도우미 활동 허용, 강의 녹취허용
건강장애: 질병 등으로 인한 결석에 대한 출석 인정, 대필 도우미 허용
학습장애: 대필도우미 허용
지적장애/자폐성장애: 대필도우미 및 수업멘토 허용
과제 및 평가관련
과제 제출 및 응답 방식의 조정, 평가시간 연장, 평가 문항 제시 및 응답 방식의 조정, 별도 고사실 제공, 개별화 과제 제출 및
대체 평가 실시
과제 및 평가관련 :*장애유형, 정도에 따라 지원 내용이 다를 수 있음
비고
본 과목을 수강하는 장애학생은 수업에 필요한 별도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 담당교강사 및 장애학생지원센터
(서울 02-961-2104~5, 국제 031-201-3460~1)로 필요한 사항을 요청하기 바랍니다.
COPYRIGHT © KYUNG HEE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