科目情報
한국문화와체험
한국문화와체험
한국문화와체험
韓国文化と体験
講義(地域言語)
1.강의소개 : 본교에 재학 중인 유학생과 내교교환학생들에게 한국과 한국 문화 그리고 한국 사회, 한국인의 특성에 대해 깊이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수업을 통해 유학생들이 한국을 이해하고 한국인의 특성, 나아가 한국 문화를 이해, 고급 수준의 지식을 기반으로 대학의 학부 전공 수업을 잘 수행하고 마칠 수 있도록 하는 데 더 큰 의의가 있다. 특히 학문 목적에 부합하는 고급 한국어로 한국과 한국 문화 관련 자료를 읽고 이해 능력을 향상, 그 이해 능력을 바탕으로 자국 문화와 한국 문화의 차이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과제 발표, 조사 발표를 통하여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가 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2.수업 목표 : 1)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이해 교재를 통해 한국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2)한국문화이해를 통해 자국의 문화, 역사, 예술, 정치, 경제, 사회 등을 비교하여 표현할 수 있다. 3)한국문화이해를 통해 전문지식을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성공적인 대학 생활과 전문인이 되도록 한다. 3.수업진행방법 : 1)15주 30회 수업에서 7주까지 강의를 중심으로 하되 질의, 토론을 통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2)7주까지 강의는 한국의 지리, 기후, 계절 별 의식주 생활 등 문화 전반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 수업 방식은 교수자의 일방적 설명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자국 문화와 한국 문화를 비교하여 표현하도록 한다. 3)한국문화와 자국문화를 비교, 특정주제에 대한 발표를 통해 이해능력 및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4)박물과 조사 등 특정 주제에 대해 조사하고 발표, 체험을 통해 적극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지원 : 학습도우미(이동보조, 강의·보고서 대필, 학습보조), 보조기기,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강의실, 좌석 우선배정, 점자, 확대자료 등이 필요한 수강자는 사전 문의 바랍니다. (장애학생지원센터 : 053-810-1164) 4.중요교재 및 문헌 : 1)주교재: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읽기 : 권영민, 양승국,장소원, 김성규, 박성현, 안경화 (2015)(주)아름다운 한국어학교 2)부교재: 한국어와 한국문화 : 이상억(2009) 소통. 문화의 발견 : 김찬호(2009) 문학과 지성. 외국인을 위한 한국, 한국인 그리고 한국문화 : 김찬호(2010) 보고사. *교재 소개는 첫 시간에 하겠습니다. 먼저 책 사지 마세요 5.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타사항(선수과제 제시 권장) : 한국의 흥미로운 문화(한국의 기술력, 음식, 영화, 드라마, K-POP)를 이해하고 나아가 자국문화와 비교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도록 한다. ※ 장애학생의 요구가 있을 경우 장애유형에 따라 편의를 제공한다. (장애학생지원센터 : 053-810-1164) 6.학습평가 : 중간고사 20(%), 기말고사 30(%), 출석 20(%), 과제(숙제) 30(%) ※ 장애학생을 위한 평가지원 : 학습도우미(이동보조, 시험 대필), 점자, 음성 시험지, 확대 문제지, 시험시간 연장, 대필 도우미, 별도시험장소, 보조기기가 필요한 수강자는 사전 문의 바랍니다. (장애학생지원센터 : 053-810-1164) 평가비율 중간시험 : 20%, 기말시험 : 30%, 출결 : 20%, 예ㆍ복습 : 30%, 기타 : 0%
① 1)外国人のための韓国文化理解教材を通じて、韓国の歴史、政治、経済、社会、文化芸術など全般的な知識を習得することができる。 2)韓国文化の理解を通じて自国の文化、歴史、芸術、政治、経済、社会などを比較して表現できる。 3)韓国文化の理解を通じて専門知識を理解し、これをもとに成功的な大学生活と専門家になれるようにする。 ② ③ 1)主教材:『外国人のための韓国文化読み』:クォン·ヨンミン、ヤン·スングク、チャン·ソウォン、キム·ソンギュ、パク·ソンヒョン、アン·ギョンファ (2015) (株)美しい韓国語学校 2)副教材:『韓国語と韓国文化』:イ·サンオク(2009)コミュニケーション。 『文化の発見』:キム·チャンホ(2009)文学と知性。 『外国人のための韓国、韓国人、そして韓国文化』:キム·チャンホ(2010)報告書。 ④ 中間考査 20(%), 期末考査 30(%), 出席 20(%), 課題(宿題) 30(%)
留学生用科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