科目情報
국어사
국어사
History of Korean Language
国語史
講義(地域言語)
수업목표 이 강의의 일차적인 목적은 우리말의 역사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로 하여금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말이 변화해 온 양상을 다양한 방식의 해석을 통해 알아보게 하는 데 있다. 언어란 민족과 역사를 함께 한다. 우리말의 역사를 되짚어 보는 일은 곧 우리 민족의 역사를 되짚어 보는 일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우리말이 전개되어온 과정의 흥미진진한 양상을 우리말이 걸어온 사건, 사고를 통해 알아볼 수 있게 될 것이다. 1주 3/4 ~ 3/10 서론- 강의 안내 및 시대구분 개요 2주 3/11 ~ 3/17 1. 상고시대 : 알타이~삼한 이전 -약 2,000년/최소 1,000년)의 언어 고조선 사람들은 어떤 말을 썼을까 / 고조선 사람들의 주변 사람들은 어떤 말을 썼을까 3주 3/18 ~ 3/24 2.1 전기 고대: 삼한-삼국(BC 57 ~ AD676) -약 700년 부여와 삼한(마한, 변한, 진한) 사람들은 어떤 말을 썼을까 고구려, 백제, 신라의 말은 어떠하였을까 4주 3/25 ~ 3/31 2.2 후기 고대: 통일신라(676~936)-약 270년 통일신라 시대의 언어는 어떠하였을까 5주 4/1 ~ 4/7 3.1 전기 중세: 고려시대 전기(936~1259)-약 320년 고려시대에는 어떤 말을 썼을까, 어떤 특징이 있었을까 6주 4/8 ~ 4/14 3.1 전기 중세: 고려시대 후기(1260~1392)-약 130년 몽골의 침탈 이후 고려의 언어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겼을까 7주 4/15 ~ 4/21 3.2 중기 중세01: 조선전기-임란이전(1392~1592)-약 200년 조선 시대 전기의 언어는 어떠하였을까, 고려 왕조의 언어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었을까 8주 4/22 ~ 4/28 <중간시험>(4월 24(목) 9주 4/29 ~ 5/5 3.3 후기 중세01: 임란-병자개항(1592~1876)-약 180년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겼을까01 10주 5/6 ~ 5/12 3.3 후기 중세02: 임란-병자개항(1592~1876)-약 180년 임진왜란/병자호란란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겼을까02 11주 5/13 ~ 5/19 4.1 전기 근대: 병자개항~경술병탄(1876~1910)-약 35년 개항기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겼을까 12주 5/20 ~ 5/26 4.2 후기 근대: 경술병탄~광복(1910~1945)-약 35년 일제강점기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일이 생겼을까 13주 5/27 ~ 6/2 5. 현대01: 광복~<한글맞춤법> 이전(1945~1988)-약 43년(한글마춤법통일안시대) 광복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일이 생겼을까01 14주 6/3 ~ 6/9 5. 현대02: <한글맞춤법> 이후(1989~2025)-약 36년. <표준국어대사전/우리말샘 시대> 광복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일이 생겼을까02 15주 6/10 ~ 6/16 <기말시험>(6월 10일(화) 교재 및 참고자료 1 국어의 역사 김무림 한국문화사 2004 2 (신정판) 국어사개설 이기문 태학사 1998 3 국어발달사 박병채 세영사 1998 4 한국어발달사 최범훈 형설출판사 1990 평가방법 중간고사 30% 1장~7장까지 상고시대~임진왜란 이전까지의 내용에서 중요한 문제를 출제함.(문제는 5~10개에서 출제됨) - 30점 만점 기말고사 30% 8장~14장까지 임진왜란 이후~현대까지의 내용에서 중요한 문제를 출제함.(문제는 5~10개에서 출제됨) - 30점 만점 과제보고서 30% <중간과제> 매주 수업에서 제출하는 퀴즈에 대한 대답으로 대체하여 평가함. - 20점 만점 <기말과제> 국어사의 콘텐츠 관련 보고소 - 10점 만점 발표 0% 출석 10% 10점 만점 1회 결석 감점 1점(화 목 각 1점). 3회 지각 감점 1점. 4. 전체 수업의 1/3(즉 5주, 10회) 이상 결석인 경우 학점을 부여할 수 없음. 기타 0%
授業目標 この講義の第一の目的は、韓国語の歴史に関心のある学生たちに古代から現代に至るまで韓国語が変化してきた様相を様々な方式の解釈を通じて見極めることにある。言語とは民族と歴史を共にする。韓国語の歴史を振り返ってみることは、まさに私たちの民族の歴史を振り返ってみることだ。学生たちはこの授業を通じて韓国語が展開されてきた過程の興味深い様相を韓国語がかけてきた事件、事故を通じて認識できるようになるだろう。 1週間 3/4〜3/10 序論-講義案内及び時代区分概要 2週間 3/11~3/17 1.上古時代:アルタイ~三韓以前-約2,000年/最低1,000年)の言語 高朝鮮の人々はどんな言葉を使ったのか/高朝鮮の人々の周りの人々はどんな言葉を使ったのか 3週間 3/18〜3/24 2.1 前期古代:三韓-三国(BC 57~AD676)-約700年 扶余と三韓(マハン、変漢、チン)の人々はどんな言葉を使っただろうか 高句麗、百済、新羅の言葉はどうだったかな 4週間 3/25~3/31 2.2 後期古代:統一新羅(676~936)-約270年 統一新羅時代の言語はどうだったかな 5週間 4/1〜4/7 3.1 前期 中世:高麗時代前期(936~1259)-約320年 高麗時代にはどんな言葉を使ったのか、どんな特徴があったのか 6週間 4/8〜4/14 3.1 前期中世:高麗時代後期(1260~1392)-約130年 モンゴルの侵略以降、高麗の言語にはどのような変化が起きたのか 7週間 4/15〜4/21 3.2 中期中世01:朝鮮前期-林蘭以前(1392~1592)-約200年 朝鮮時代前期の言語はどうだったか、高麗王朝の言語とはどのような違いがあったか 8週間 4/22~4/28 <中間試験>(4月24日(木) 9週 4/29〜5/5 3.3後期中世01:イムラン-ビョンジャ開港(1592~1876)-約180年 壬辰倭乱/ビョンジャホラン以降、韓国語にはどのような変化が起きたのか01 10週 5/6~5/12 3.3後期中世02:林蘭-病子開港(1592~1876)-約180年 壬辰倭乱/丙子浩乱以降、韓国語にはどのような変化が起きたのか02 11週 5/13~5/19 4.1 前期近代:病子開項~経術病弾(1876~1910)-約35年 開港期以降、韓国語にはどのような変化が起きたのか 12週間 5/20~5/26 4.2後期近代:軽術兵弾~解放(1910~1945)-約35年 日帝強占期以降、韓国語にはどんなことが起きたのか 13週 5/27~6/2 5.現代01:光復~<ハングルスペル法>以前(1945~1988)-約43年(ハングルマジック法統一案時代) 解放以降、韓国語にはどんなことが起こったのか01 14週 6/3~6/9 5.現代02:<ハングルスペル>以降(1989~2025)-約36年。<標準国語大辞典/韓国語時代> 解放後、韓国語にはどんなことが起きたのか02 15週 6/10~6/16 <期末試験>(6月10日(火) 教材及び参考資料 1 国語の歴史 キム・ムリム 韓国文化史 2004 2 (新版)国語史開設 イ・ギムン テハクサ 1998 3 国語発達史 パク・ビョンチェ セヨンサ 1998 4 韓国語発達士 チェ・ボムフン ヒョンソル出版社 1990 評価方法 中間試験 30% 1章~7章まで上古時代~壬辰倭乱以前までの内容で重要な問題を出題する。(問題は5~10個で出題される) - 30点満点 期末試験 30% 8章~14章まで壬辰倭乱以降~現代までの内容で重要な問題を出題する。(問題は5~10個で出題される) - 30点満点 課題報告書 30% <中間課題>毎週授業で提出するクイズに対する答えに置き換えて評価する。-20点満点 <期末課題>国語史のコンテンツ関連報告所-10点満点 発表 0% 出席 10% 10点満点 1回欠席減点1点(火木各1点)。3回遅刻減点1点。 4.全授業の1/3(つまり5週間、10回)以上欠席の場合、単位を付与できない。 その他 0%
国語国文学科、ソウルキャンパス、専攻必須授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