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목표 한국어 속에 담긴 한국 문화를 파악한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특징과 분류체계를 연구한다.
한국어 문화 요소에 대해 연구한다.
세계속의 한국어의 위치를 살핀다.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화 교육에 대해 이해한다.
교재 및 참고자료 1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주교재) 조현용 하우출판사 2017
2 한국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부교재) 조현용 하우출판사 2023
3 한국인의 신체언어(참고) 조현용 소통출판사 2009
4 한글의 감정(참고) 조현용 한글파크 2020
5 우리말 지혜(참고) 조현용 마리북스 2018
6 한국어 문화교육 강의(참고) 조현용 하우 출판사 2013
1주 3/4 ~ 3/10 강의 소개(5일)
언어와 문화를 공부하는 이유(언어를 공부하는 이유, 문화를 공부하는 이유 참고)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문화가 가리키는 방향을 보다 참조)(10일) 강의
2주 3/11 ~ 3/17 1장 언어와 문화의 관계
문화의 정의와 개념(12일), 관련 분야(17일)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1장 문화의 씨앗 참조) 강의
3주 3/18 ~ 3/24 2장 한국어의 주요 특징과 문화
(한국어 문화교육 강의 참고) 조별 발표와 강의
4주 3/25 ~ 3/31 3.1 한국어와 자연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6장 자연과 한국문화 참조) 조별 발표와 강의
5주 4/1 ~ 4/7 3.2 한국어와 사람, 3.10 가족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7장 사람과 한국문화 참조) 조별 발표와 강의
6주 4/8 ~ 4/14 3.3 한국어와 의식주 문화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8장 생활문화 참조) 조별 발표와 강의
7주 4/15 ~ 4/21 3.4 한국어와 언어관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3장 말과 문화 참조)
3.5 한국어와 문자
(한글의 감정/우리말 교실 참고) 조별 발표와 강의
8주 4/22 ~ 4/28 중간고사(4월 23일) 시험
9주 4/29 ~ 5/5 3.6 한국어와 비유, 상징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9장 숫자, 비유 표현 참조) 조별 발표와 강의
10주 5/6 ~ 5/12 3.7 한국어와 속담, 관용표현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9장 관용표현, 속담표현 참조) 조별 발표와 강의
11주 5/13 ~ 5/19 3.8 한국어와 신체언어
(한국인의 신체언어 참고)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2장 말과 놀이/4장 인사와 몸짓 참조) 조별 발표와 강의
12주 5/20 ~ 5/26 3.9 한국어와 시대(은어, 속어, 유행어 등) 조별 발표와 강의
13주 5/27 ~ 6/2 3.11 한국어와 생각, 감정, 철학, 종교(3.12)
(우리말 지혜 등 참고)
(언어로 본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4장 인사말, 5장 감정, 10장 말 열쇠 등 참조) 조별 발표와 강의
14주 6/3 ~ 6/9 3.13 한국어와 한민족, 한국어 교육 현황(유학생, 세종학당, 한글학교 등)
3.14 한국어와 인권 조별 발표와 강의
15주 6/10 ~ 6/16 3.15한국어와 문화 번역
(한국어 어휘와 문화번역(발간 예정) 참조) 조별 발표와 강의
16주 6/17 ~ 6/23 기말 고사(6월 18일) 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