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목표 이 강의의 일차적인 목적은 우리말의 역사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로 하여금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말이 변화해 온 양상을 다양한 방식의 해석을 통해 알아보게 하는 데 있다. 언어란 민족과 역사를 함께 한다. 우리말의 역사를 되짚어 보는 일은 곧 우리 민족의 역사를 되짚어 보는 일이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우리말이 전개되어온 과정의 흥미진진한 양상을 우리말이 걸어온 사건, 사고를 통해 알아볼 수 있게 될 것이다.
1주 3/4 ~ 3/10 서론- 강의 안내 및 시대구분 개요
2주 3/11 ~ 3/17 1. 상고시대 : 알타이~삼한 이전 -약 2,000년/최소 1,000년)의 언어
고조선 사람들은 어떤 말을 썼을까 / 고조선 사람들의 주변 사람들은 어떤 말을 썼을까
3주 3/18 ~ 3/24 2.1 전기 고대: 삼한-삼국(BC 57 ~ AD676) -약 700년
부여와 삼한(마한, 변한, 진한) 사람들은 어떤 말을 썼을까
고구려, 백제, 신라의 말은 어떠하였을까
4주 3/25 ~ 3/31 2.2 후기 고대: 통일신라(676~936)-약 270년
통일신라 시대의 언어는 어떠하였을까
5주 4/1 ~ 4/7 3.1 전기 중세: 고려시대 전기(936~1259)-약 320년
고려시대에는 어떤 말을 썼을까, 어떤 특징이 있었을까
6주 4/8 ~ 4/14 3.1 전기 중세: 고려시대 후기(1260~1392)-약 130년
몽골의 침탈 이후 고려의 언어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겼을까
7주 4/15 ~ 4/21 3.2 중기 중세01: 조선전기-임란이전(1392~1592)-약 200년
조선 시대 전기의 언어는 어떠하였을까, 고려 왕조의 언어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었을까
8주 4/22 ~ 4/28 <중간시험>(4월 24(목)
9주 4/29 ~ 5/5 3.3 후기 중세01: 임란-병자개항(1592~1876)-약 180년
임진왜란/병자호란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겼을까01
10주 5/6 ~ 5/12 3.3 후기 중세02: 임란-병자개항(1592~1876)-약 180년
임진왜란/병자호란란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겼을까02
11주 5/13 ~ 5/19 4.1 전기 근대: 병자개항~경술병탄(1876~1910)-약 35년
개항기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겼을까
12주 5/20 ~ 5/26 4.2 후기 근대: 경술병탄~광복(1910~1945)-약 35년
일제강점기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일이 생겼을까
13주 5/27 ~ 6/2 5. 현대01: 광복~<한글맞춤법> 이전(1945~1988)-약 43년(한글마춤법통일안시대)
광복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일이 생겼을까01
14주 6/3 ~ 6/9 5. 현대02: <한글맞춤법> 이후(1989~2025)-약 36년. <표준국어대사전/우리말샘 시대>
광복 이후 우리말에는 어떠한 일이 생겼을까02
15주 6/10 ~ 6/16 <기말시험>(6월 10일(화)
교재 및 참고자료 1 국어의 역사 김무림 한국문화사 2004
2 (신정판) 국어사개설 이기문 태학사 1998
3 국어발달사 박병채 세영사 1998
4 한국어발달사 최범훈 형설출판사 1990
평가방법
중간고사 30% 1장~7장까지 상고시대~임진왜란 이전까지의 내용에서 중요한 문제를 출제함.(문제는 5~10개에서 출제됨) - 30점 만점
기말고사 30% 8장~14장까지 임진왜란 이후~현대까지의 내용에서 중요한 문제를 출제함.(문제는 5~10개에서 출제됨) - 30점 만점
과제보고서 30% <중간과제> 매주 수업에서 제출하는 퀴즈에 대한 대답으로 대체하여 평가함. - 20점 만점
<기말과제> 국어사의 콘텐츠 관련 보고소 - 10점 만점
발표 0%
출석 10% 10점 만점
1회 결석 감점 1점(화 목 각 1점). 3회 지각 감점 1점.
4. 전체 수업의 1/3(즉 5주, 10회) 이상 결석인 경우 학점을 부여할 수 없음.
기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