科目情報
문화사회학
문화사회학
cultural sociology
文化社会学
講義(地域言語)
기본정보 과목명 문화사회학(1576-01) 학점(시간) 3(3) 이수구분 전공선택 과목유형 일반강의 수업형태 수강번호 1576 반번호 01 강의시간 월12:00-13:15 목13:30-14:45 강의실 C03-206 C03-206 담당교수 김정환 팀티칭 N 소속 사회학과 면담시간 사전예약 (월, 목),강의실 혹은 교내 등 과목 관련 정보 동일과목 선수과목 세부내용 ※선행과제 : 1.강의소개 : 이 과목은 오늘날 다양한 문화 현상을 다루는 문화사회학을 교과서적인 체계에 치우치지 않고 여러 가지 구체적인 테마와 사례를 보면서 이해하도록 한다. 특히, 문화현상을 어떤 사회의 생활양식의 총체로서 보는 방법과 정신적으로 풍부한 생활을 보내기 위한 문화 현상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기로 한다. 2.수업목표 : 1) 이 수업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토픽을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하는 힘을 배양해서 우리의 사회적 삶이 문화와 어떤 관련성을 지니는지 깊이 생각하도록 한다. 2) 영화, 음악, 스포츠, 패션 등 여러 가지 문화 현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문화의 시대에 걸맞은 지적 관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한다. 3.수업진행방법 : 1) 다양한 문화 현상에 대한 사례 연구 및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다. 2) 조별 과제는 과제 제출과 발표 및 토론으로 진행한다. ※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지원 : 학습도우미(이동보조, 강의·보고서 대필, 학습보조), 보조기기,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강의실, 좌석 우선배정, 점자, 확대자료 등이 필요한 수강자는 사전 문의 바랍니다. (장애학생지원센터 : 053-810-1164) 4.중요교재 및 문헌 : 김윤태, “문화사회학의 이해”, 세창출판사, 2020 박선웅, “문화사회학”, 살림, 2012 井上 俊、“文化社会学入門:テーマとツール、ミネルヴァ書房, 2010 5.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타사항(선수과제 제시 권장) : 1) 적극적인 자세로 자기 생각 발표하기 2) 강의 지원을 통해 강의안 및 기타자료를 수업 전에 미리 다운로드, 출력하여 준비 해 올 것. ※ 장애학생의 요구가 있을 경우 장애유형에 따라 편의를 제공한다. (장애학생지원센터 : 053-810-1164) 6.학습평가 : 1)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30% 2) 조별과제(10%), 개별과제(10%) 퀴즈10% 3) 출석 10% ※ 장애학생을 위한 평가지원 : 학습도우미(이동보조, 시험 대필), 점자, 음성 시험지, 확대 문제지, 시험시간 연장, 대필 도우미, 별도시험장소, 보조기기가 필요한 수강자는 사전 문의 바랍니다. (장애학생지원센터 : 053-810-1164) ※ 학칙 제46조(성적인정)에 의거하여, 각 교과목의 당해학기 총수업시간수의 4분의1을 초과하여 결석한 자는 그 교과목의 성적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평가비율 중간시험 : 30%, 기말시험 : 30%, 출결 : 10%, 예ㆍ복습 : 0%, 기타 : 30% 주별계획 주 학습목표 및 주요학습활동 주교재 및 참고자료 퀴즈/과제/토론 유무 1 문화사회학이란 2 문화 변용의 현재 3 미디어와 정보의 문화(매스미디어, 팬덤) 4 도시의 문화(편의점,카페) 5 예술의 문화(영화, 음악) 6 대구미술관, 간송미술관 체험 학습 개별과제 7 오락의 문화(여행, 노래방) 8 중간고사 9 생활의문화(주거, 식생활) 10 사귐과 의례의 문화(결혼식, 연애) 조별발표 11 신체의 문화(스포츠, 패션) 조별발표 12 K- Culture Ⅰ 분석 조별발표 13 K- Culture Ⅱ 분석 조별발표 14 문화사회학의 도구함 15 기말고사
基本情報 科目名文化社会学(1576-01) 単位(時間) 3(3) 履修区分 専攻選択 科目タイプ 一般講義 授業形態 受講番号 1576 半番号 01 講義時間 月 12:00-13:15 木 13:30-14:45 講義室 C03-206 C03-206 担当教授のキム·ジョンファン、チームティーチングN所属の社会学科 面談時間の事前予約(月·木)、講義室または校内など 科目関連情報 同一科目 選手科目 詳細 ※先行課題: 1.講義の紹介: この科目は、今日の多様な文化現象を扱う文化社会学を教科書的な体系に偏らず 様々な具体的なテーマと事例を見ながら理解するようにする。 特に、文化現象をある社会の 生活様式の総体として見る方法と精神的に豊かな生活を送るための文化現象で 分けて調べることにする。 2.授業目標: 1) この授業を通じて韓国社会の多様なトピックを文化社会学的観点から理解し分析する力を 培養して私たちの社会的生活が文化とどんな関連性を持つのか深く考えるようにする。 2) 映画、音楽、スポーツ、ファッションなど様々な文化現象に対する理解度を高め、文化の時代に ふさわしい知的関心の出発点になるようにする。 3.授業の進め方: 1) 多様な文化現象に対する事例研究および視聴覚資料を活用する。 2) 組別課題は課題提出と発表および討論で進行する。 ※ 障害学生のための学習支援:学習ヘルパー(移動補助、講義·報告書代筆、学習補助)、補助機器、 車椅子でのアクセスが可能な講義室、座席優先割り当て、点字、拡大資料などが必要な受講者は 事前にお問い合わせください。 (障害学生支援センター : 053-810-1164) 4.重要教材及び文献: キム·ユンテ、「文化社会学の理解」、セチャン出版社、2020 パク·ソンウン「文化社会学」、サリム、2012 井上 俊、“文化社会学入門:テーマとツール、ミネルヴァ書房, 2010 5.授業の効率性向上のためのその他の事項(選手課題提示推奨): 1) 積極的な姿勢で自分の考えを発表する 2) 講義支援を通じて講義案およびその他の資料を授業前にあらかじめダウンロード、出力して準備してくること。 ※ 障害学生の要求がある場合、障害類型に応じて便宜を提供する。 (障害学生支援センター : 053-810-1164) 6.学習評価: 1) 中間テスト30%、期末テスト30% 2) グループ課題(10%)、個別課題(10%)クイズ10% 3) 出席10% ※ 障害学生のための評価支援:学習ヘルパー(移動補助、試験代筆)、点字、音声試験紙、拡大問題紙、 試験時間の延長、代筆ヘルパー、別途試験場所、補助機器が必要な受講者は事前にお問い合わせください。 (障害学生支援センター : 053-810-1164) ※ 学則第46条(成績認定)に基づき、各教科の当該学期の総授業時間数の4分の1を超過し 欠席した者はその教科の成績を認めません。 評価比率 中間試験:30%、期末試験:30%、出欠:10%、予·復習:0%、その他:30% 州別計画 主な学習目標および主要学習活動の主教材および参考資料のクイズ/課題/討論の有無 文化社会学とは 2 文化変容の現在 3 メディアと情報の文化(マスメディア、ファンダム) 4都市の文化(コンビニ、カフェ) 5 芸術の文化(映画、音楽) 6 大邱美術館、澗松美術館 体験学習 個別課題 7 娯楽の文化(旅行、カラオケ) 8中間テスト 9 生活の文化(住居、食生活) 10 付き合いと儀礼の文化(結婚式、恋愛)組別発表 11 身体の文化(スポーツ、ファッション)組別発表 12K-CultureⅠ分析グループ発表 13 K-CultureⅡ分析グループ別発表 14 文化社会学の道具箱 15 期末試験
教養科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