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과목명 현대소설의이해(0424-01)
학점(시간) 3(3)
이수구분 전공핵심 과목유형 일반강의 수업형태
수강번호 0424 반번호 01
강의시간 월15:00-16:15 목10:30-11:45
강의실 B03-201 B03-201
담당교수 노상래 팀티칭 N 소속 국어국문학과
면담시간
과목 관련 정보
동일과목 한국현대소설(KOR078), 현대소설깊이읽기(KOR089), 현대소설론(KOR090)
선수과목
세부내용
※선행과제 :
1.강의소개 :
한국현대소설 중 주로 해방전 작품을 중심으로 시대사조와 그것을 드러내는 형식, 즉 소설기법적 특성을 주요 작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서 한국소설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특성과 세계속에 존재하고 있는 인류 보편적 특질을 구명함으로써 정보화시대, 포스트모더니즘시대에도 소설은 여전히 우리에게 의미있는 문학 장르임을 알아보려 한다.
2.수업목표 :
1) 작가 생애에 대한 치밀한 자료 조사 및 분석
2) 작가와 작품의 유기적인 관계성 고찰
3) 작품에 드러난 미학적 특질 분석
4) 한국소설에 관류하는 시대사적 의의 특성 고찰
3.수업진행방법 :
강의(1-7주차), 조별 발표(9-14주차)
※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지원 : 학습도우미(이동보조, 강의·보고서 대필, 학습보조), 보조기기,
휠체어 접근이 가능한 강의실, 좌석 우선배정, 점자, 확대자료 등이 필요한 수강자는
사전 문의 바랍니다.
(장애학생지원센터 : 053-810-1164)
4.중요교재 및 문헌 :
이동희 편, 한국소설의 이해, 영남대출판부, 1994.
이동희.노상래 편, 한국소설의이해 1~6, 나랏말출판사, 1997.
오에 겐지부로, 소설의 방법, 소화, 1995.
문학과 사회연구회, 현대사회와 문학적 상상력, 거름, 1997.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문예출판사, 1995.
김욱동, [광장]을 읽는 일곱 가지 방법, 문학과지성사, 1996.
이재선, 현대한국소설사, 민음사,1991
김윤식, 정호웅, 한국소설사, 예하,1993
안한상, 해방기소설의 현실인식과 구조 연구,국학자료원,1995
5.수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타사항 :
※ 장애학생의 요구가 있을 경우 장애유형에 따라 편의를 제공한다.
(장애학생지원센터 : 053-810-1164)
6.학습평가 :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30% 퀴즈 5% 출석 5% 기타(조별 발표및 질의응답) 30%=100%
※ 장애학생을 위한 평가지원 : 학습도우미(이동보조, 시험 대필), 점자, 음성 시험지, 확대 문제지,
시험시간 연장, 대필 도우미, 별도시험장소, 보조기기가 필요한 수강자는 사전 문의 바랍니다.
(장애학생지원센터 : 053-810-1164)
평가비율
중간시험 : 35%, 기말시험 : 35%, 출결 : 5%, 예ㆍ복습 : 5%, 기타 : 20%
주별계획
주 학습목표 및 주요학습활동 주교재 및 참고자료 퀴즈/과제/토론 유무
1 1. 강좌 소개
2. 근대의 기점 및 근대성(1)
2 근대의 기점 및 근대(2)
퀴즈
3 신소설이란(1)
4 신소설이란(2) 보고서
5 이인직의 신소설이 갖는 의미-[혈의루]를 중심으로
6 이광수의 무정에 이르는 도정-농촌계발을 중심으로 퀴즈
7 1. 김동인의 참예술
2. KAPF
8 중간고사
9 1)정치소설도 소설인가-이인직과 그의 문학(1조) 발표-7조 토론
2)한 민족주의자의 쓸쓸한 자기 변명-이광수 <무정> 발표(2조)-8조 토론
10 3)경제적 운명론자의 글쓰기-김동인 <배따라기 발표(3조)-9조 토론
4)참혹한 근대주의, <무덤>속으로-염상섭 <삼대> 발표(4조)-10조 토론 퀴즈
11 5)소설은 구호일 수 있는가-박영희의 소설들 발표(5조)-11조 토론
6)노동의 신성성과 역사성-이기영 <고향> 발표(6조)-12조 토론
12 7)문학의 실천 가능성 혹은 실천의 문학화-김남천 <물> 발표(7조)-1조 토론
8)정치에의 굴복, 정당한 단죄-한설야 <황혼>, <태양> <임금> <철로교차점> 발표(8조)-2조 토론 보고서
13 9)추락하는 것에도 날개가 있다-이상 <날개> 발표(9조)-3조 토론
10)한 기교주의자의 꿈과 좌절-이태준 <영월영감> <패강랭> <농군> 발표(10조)-4조 토론
14 11)지금도 천변을 걸을 수 있을까-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발표(11조)-5조 토론
12)문학의 훼절, 역사 되짚기-친일문학 작품 발표(12조)-6조 토론
15 기말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