科目情報
Theorie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Theorie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Theorie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韓国文化教育論
講義(地域言語)
본 강의는 문화교육 이론의 흐름을 개괄하고 구체적인 문화교육의 방법론을 학습함으로써 한국문화교육의 다양한 방법을 아는 데 궁극적임 목적이 있다. 강의는 이론과 실습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문화교육 관련 이론에서는 문화내용 선정, 세부 항목 선정, 학습자 요구도 파악 등과 관련한 이론을 공부하며, 문화교육의 방법론에서는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이론, 국제이해교육이론, 다문화교육이론, 문학을 활용한 문화교육론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本講義は文化教育理論の流れを客観視し、具体的な文化教育の方法論を学習することで韓国文化教育の多様な方法を知ることが最終的な目標である。講義は理論と実習に分かれ進められる。文化教育関連の理論では文化教育内容の選定、詳細な項目の選定、学習者の要求把握などと関連した理論を勉強し、文化教育の方法論では文化間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理論、国際理解の教育理論、多文化教育理論、文化を活用した文化教育を中心として実際的な教育方案を探ろうとするものだ。 Goals 문화의 개념과 문화교육 이론의 흐름을 안다. 文化の概念と文化教育理論の流れが分かる。 문화교육의 이론과 구체적인 문화교육 방법론을 안다. 文化教育の理論と具体的な文化教育の方法論が分かる。 문화교육과 언어교육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문화교육에서 언어교육이 갖는 위상과 의의를 이해한다. 文化教育と言語教育の関連性を理解し文化教育において言語教育が持つ位相と意味を理解する。 한국문화교육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다. 韓国文化教育の特徴を理解し、これを適用することができる。 Mid-term  Final Homework/Report Presentation Experiments/Hands-on Practice Attendance Others. 30%     30%      20%     10%           0%          10%     0% Week1 강의소개 : 한국문화교육의 현장이해와 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 강의 講義紹介:韓国文化教育の現状理解と文化教育とは何か Week2 문화교육 이론 개관 강의 文化教育理論の客観 Week3 문화내용 선정 방안 강의 文化内容の選定方案 Week4 문화교육 항목 강의 文化教育の項目 Week5 토론 및 실제 토론 및 실제 모형 감상 討論および実践 Week6 문화교육 이론의 실제1:문화간 의사소통 이론 文化教育理論の現状1:文化間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理論 Week7 문화교육 이론의 실제 2: 국제교육 이론과 다문화교육 이론 강의 文化教育理論の現状2:国際教育理論と多文化教育理論 Week8 문화교육 이론의 실제 3: 문학을 활용한 문화교육 이론 강의 文化教育理論の現状3:文学を活用した文化教育の理論 Week9 중간고사 中間考査 Week10 한국문화교육론의 실제 1 : 한국 생활문화교육 강의 및 발표1 韓国文化教育理論の現状1:韓国の生活文化教育 Week11 한국문화교육론의 실제 2: 한국 사회문화교육1 강의 및 발표2 韓国文化教育理論の現状2:韓国社会文化教育1 Week12 한국문화교육론의 실제3 : 한국 사회문화교육2 강의 및 발표3 韓国文化教育理論の現状3:韓国社会文化教育2 Week13 한국문화교육론의 실제4: 한국 예술과 문학교육 강의 및 발표4 韓国文化教育理論の現状4:韓国芸術と文化教育 Week14 한국문화교육론의 실제5: 한국 역사문화교육 강의 및 발표5 韓国文化教育理論の現状5:韓国歴史文化教育 Week15 한국문화교육론의 실제6 :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강의 및 발표6 韓国文化教育理論の現状6:韓国の世界文化遺産 Week16 기말고사 期末考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