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언어의 제 단위 중 가장 큰 단위인 담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한국어 담화의 특징을 분석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절히 교육하는 방법을 알아 한국어 교사로서의 기본 소양을 다질 수 있도록 하는 한국어교육학 영역의 세부 전공 교과이다.
この授業は言語の諸単位の中で最も大きい単位である談話の概念を理解し、韓国語の談話の特徴を分析し、外国語としての韓国語学習者に合った教育する方法を理解し韓国語教師としての基本の心得をたしなめるよう韓国語教育学の領域の詳細専攻の教科である。
Goals 언어 단위의 하나인 담화가 무엇인지 이해한다.
言語単位の一つである談話がなんであるかを理解する。
한국어 담화의 특징이 무엇인지 안다.
韓国語談話の特徴がなんであるか分かる。
한국어 담화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떻게 교수할 것인지에 대하여 탐구한다.
韓国語の談話を外国語としての韓国語学習者にどのように教授するのかを探る。
교수 방법론과 수업 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방법을 고안하는 등 담화 교육의 제반 절차를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教授方法論と授業計画を樹立し評価方法を考案するなど談話教育のさまざまな手順を理解し遂行できるようにする。
Evaluation
Mid-term Final Homework/Report Presentation Experiments/Hands-on Practice Attendance Others.
25% 25% 15% 25% 0% 10% 0%
Week1 3/3 강의 소개 3/5 담화란 무엇인가?(담화를 바로보는 관점)
講義紹介
Week2 3/10 담화의 구성 요소(SPEAKING 이론) 3/12 담화의 유형(장르, 레지스터)
談話の構成要素
Week3 3/17 텍스트성, 지시, 대용, 생략 3/19 구체적인 텍스트 사례를 통한 검토
テキスト性、指示、代用、省略
Week4 3/24 담화 전략: 간접 표현과 완곡 표현, 공손 표현 3/26 화행(인사/소개, 제안, 요청, 거절/사양, 칭찬, 사과/감사 등)
談話戦略:間接表現と婉曲表現、丁寧表現
Week5 3/31 한국어 교재 속의 담화 분석(화행 실현 양상 및 장르별 분석) 조별 발표 <1조> 4/2 조별 발표 계속 <2조>
韓国語教材の中の談話分析
Week6 4/7 조별 발표 계속 <3조> 4/9 조별 발표 계속 <4조>
グループ発表
Week7 4/14 조별 발표 계속 <5조> 4/16 조별 발표 계속 <6조>
グループ発表
Week8 4/21 중간고사 中間考査
Week9 4/28 담화 표지, 함축과 외축 4/30 담화에서의 비언어적 요소, 상투어
談話票示、含有と外有
Week10 5/5 어린이날 (휴강) 5/7 학습자의 담화 화용론적 오류, 오류를 통해 교육 방안 추출하기
こどもの日
Week11 5/12 한국어 담화의 특징, 구어와 문어의 차이 5/14 구어의 특징과 구어 교육의 내용
韓国語談話の特徴、口語と文語の差
Week12 5/19 담화 교육 교재 및 교안 구성, 모의 수업 조별 발표 <1조> 5/21 조별 발표 계속 <2조>
談話教育の教材および教案構成、模擬授業のグループ発表
Week13 5/26 조별 발표 계속 <3조> 5/28 조별 발표 계속 <4조>
グループ発表
Week14 6/2 조별 발표 계속 <5조> 6/4 조별 발표 계속 <6조>
グループ発表
Week15 6/9, 6/11 보강 주간 補講
Week16 6/16 기말고사 期末考査